대한민국 방방곡곡에서 열리는 전통예술잔치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많은 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보부족과 관심부족으로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 많은 축제들이 조금이라도 인기를 얻었으면 하는 생각으로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 소문난 잔치'라는 전통예술축제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2012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 소문난 잔치는 어떤 축제인가?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는 2010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전통예술축제입니다. 대한민국 방방곡곡 잔치에서 찾는 희망과 신명 굿과 제(祭) 그리고 사람의 어울림을 느낄 수 있는 축제이지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있으며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로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공동체축제 및 민속놀이를 발굴하고 홍보하여서 보다 많은 대중들에게 전통예술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축제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매년 조금씩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며, 성공적인 축제행사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요.
2012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는 선정된 각 마을을 방문해서 직접 체험하는 참여형 축제입니다. 전체 행사기간 동안 약 30개의 잔치가 열리는데, 평소에 잘 볼 수 없는 다양한 축제를 볼 수 있으므로 각박한 세상에서 삶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현대인들이 꼭 한 번 방문해봤으면 하는 축제입니다. 마을 사람들과 어울리며, 생소한 축제(잔치)도 구경하고 마음의 힐링을 찾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12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 소문난 잔치 행사기간
2012년 9월 30일 ~ 2013년 2월
행사일정은 위와 같은데요. 오는 2월에는 정말 많은 축제들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2월 5일 대포리 갯귀신제를 시작으로 2월 24,25일 포전리 달맞이축제를 끝으로 2월에만 총 22개의 지역 축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위에 소개된 많은 전통축제를 방문해보고 싶지만, 같은 날에 진행되는 축제가 많이 있는 만큼 모두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2월 23일과 24일에 축제가 많이 몰려 있는 이유는 2013년 2월 24일(음력 1월 15일)이 정월대보름이기 때문입니다. 정월대보름 축제이기 때문에 여러 곳에서 같은날 축제를 많이 하는 것 같네요. 저는 정월대보름 축제보다,
개인적으로 꼭 가보고 싶은 축제가 있다면 <대포리갯귀신제>와 <선정마을 12당산굿별신제>인데요.
<대포리갯귀신제>는 풍어제로서 물과 바다의 당제가 복합된 축제이며 매년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의 수호신에게 풍년과 풍어마을의 강년을 비는 제사이고 상부상조를 다지는 큰 굿판으로 40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원형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합니다.
<선정마을 12당산굿별신제>는 어촌 전통 문화의 하나로 어선 풍어제를 시작으로 지신밟기, 샘굿 및 당산굿, 당산제, 별신제 들을 진행하는 축제입니다.
내가 몰랐던 전통제사를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우리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은 축제입니다. 벌써 진행된 축제의 현장사진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전통제사와 축제 진행상황 등을 알 수 있는데요.
진도군 지산면 길은마을<한가위 술래놀이>사진입니다. 말로만 듣던 전통놀이 강강술래를 구경할 수 있었던 축제이지요.
칠곡군 지천면 영오 1리<영오리 천왕제> 모습인데요. 전통 복장을 하고 제사를 지내는 모습이 왠지 모르게 낯설게 느껴지네요.
홍성군 오관리 백월산<백월산 산신제>모습입니다. 말로만 듣던 산신제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삼척시 원덕읍 갈람 2리 신남리<해진제>모습입니다. 바다 가까이에 있는 마을이라서 그런지 해신제를 지내네요. 무척 신기하게 느껴졌습니다.
사진으로 보는 것과 실제로 축제에 참여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되네요. 축제의 종류도 많고, 여러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기회가 된다면 한 번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자녀들과 함께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자녀들에게 전통축제의 멋과 재미를 알려줄 수 있어서 교육적으로도 무척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정월대보름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니 2012 작은공동체 전통예술잔치 소문난잔치를 직접 체험해보시고 푸짐한 행운의 기회를 노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자신의 블로그에 체험기를 올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가볼 만한 축제가 없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이렇게 많은 축제가 진행되고 있으니 관심을 가져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통축제는 우리가 끝까지 보존하고 가꾸어가야 하는 축제임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오는 정월대보름을 맞이하여 이런 축제에 참여해보는 것이 어떨까요?